본문 바로가기

읽고 공부

강의 - 절기와 견종법

0. 안철환이라는 분의 강의를 '이진환' 분께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절기(4회)와 견종법(5회)

7차중 5회분입니다.
주제 : 토종과 전통농업 '견종법' --- 안철환 교장선생님

1. 해초의 나뿐점- 제거해야 하는 이유
작물과 공간경쟁
햇빛을 차지
물과 거름을 차지
과연 그럴까?
고정관념. 절대적으로 옳다는 것은 아니다. 제초제는 초가삼간 태우는 꼴.
풀과 공생하자...그 방법은 없는가?
2. 견종법 :
씨를 두둑이 아닌 골에 심는다.
골은 배수로인 고랑이 아니어서 헛골
이라고도 했다.(견은 골 견자다)
견종법 일명 싸인코싸인농법 대전법
3. 북줄 땐 쟁기질 했단다.(인걸, 소걸)
1) 인걸
(여자가 앞에서 끈다. 남자는 뒤에서 쟁기를 잡았다한다. 그 이유는 뭘까? )
2)소걸
(한편 구종법은 구멍파 거름과 씨앗 ...
씨가 귀하기 때문..)
4. 견종법의 의미
1) 집약농업
(땅거름/씨앗/일손을 절약할 수 있다.
줄뿌림을 한 골에만 거름 준다)
2) 가뭄의 대비책
(발아시 수분이 중요. 자라면서는 통풍이 중요하다.)
-- 골에 심고 두둑으로 북준다.
-- 골은 수분이 골보다 많고
두둑은 통풍이 좋다.
-- 견종법으로 농사할 경우 차츰
골은 두둑이 되고 두둑은 골이 된다.
5. 견종법의 방법
1) 경사진 곳은 평밭의 골 파종
2) 비가 자주 오거나 습한 곳은 두둑을
만들고 두둑에 골을 내어 파종한다.
3) 작물의 특성에 맞게 골 깊이와 간격
을 조절한다
4) 골에만 거름시비 -
골 내기 전에 줄뿌림 하듯 시비한다
5) 북주기(중경)-
큰 면적에선 후치질 (인경 소경)
6) 줄뿌림 시 주의
끈으로 표시해 둬야한다. 새순이 나오기 시작할 때 제초하다 작물을 건딜 수 있다.
6. 틀밭의 견종법
1) 길이 방향으로 골을 내면 자연히 두둑이 생긴다. 두둑으로 북주다보면 골은 두둑되고 두둑은 골이 된다.
(연작이된다. 두둑이 골이 되고 골에 다시 작물을 심는다)
2) 풀멀칭과 견종법은 다른 농사법인가? 서로 장점을 살릴 순 없는가?

7. 풀멀칭
예) 논밭전환농법
2년 주기 보리와 이모작
1) 멀칭재료
낙엽 (산에서 구하고)
갈대 (바다에서 구하고)
(한번주면 오래가는 거름으로 나무톱밥을 주면 풀멀칭 양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8. 우리나라는 가뭄이 심한 곳이라 이앙법 보단 직파가 적합하다.
9. 전통 경운의 의미
1) 흙 멀칭- 심토보호 / 수분보호
2) 기계경운과는 근본적으로 달라
기계는 심토를 다져준다.
3) 제초- 대량의 풀매기
(흙이 갈라질태 흙을 긁어준다.)
(봄엔 천경 겨울엔 심경)
(심토파쇄기 경운한 흙조각을 부숴줘야 심토가 다져진다. 안하면 뻘된다. 쟁기 길이가 깊다. 표토만 경운하면 땅이굳어 딱딱해진다)
일소 키우기 힘들다
요줌 찾는사람 많다
소가 기계보다 안전하다
농촌엔 노인농부 많아졌다
우리나라 소가 베트남 소보다 사납단다
10. 전통농업의 핵심은..
혼작과 윤작
직파 견종법
무경운 무농약
토종씨앗 심기
퇴비 직접 만들기(온순환)